가상화폐계의 현금처럼 쓰이는 암호화폐가 있습니다. (검색접근성을 위해암호화폐가 맞지만 가상화폐와 단어를 혼용하여 사용합니다.)바로 테더입니다. USDT 인데요. 가격이 미국달러에 앵커링되어 1테더=1달러를 보장하는 암호화폐 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이게 가능할까? 찾아보던 중에 테더가 위험하고 어딘가 구린구석이 있다는 내용들을 인터넷에서 접하게 되었습니다. 기술적으로 암호화폐로 만들었는데 어떻게 이게 1달러 유지가 되지?? 유지가 되기 위해서는 계속 찍어내면서 가격 상승을 방어하고 가격이 떨어질때는 사들여서 회수하면서 1달러를 맞추어야 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기위해서는 발행한 회사에서 테더의 양 만큼 실제 미국달러를 보유해야 한다는것이죠. 그런데 이 회사에서 달러보유량을 공개를 안하고 있다는겁니다. 은행..
재테크/비트코인,이더리움, 리플, 블록체인, 가상화폐, 암호화폐
2018. 1. 21. 21:3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